24절기 및 명절과 풍습에 대해 

(인터넷 서핑으로 가져온 자료를 편집함)



24절기란 태양의 황경(黃經)에 맞추어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으로,
한 달에서 5일을 1후(候), 3후인 15일을 1기(氣)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이를 보통 24절기라고 하는데

절기는 한 달 중 월초(月初)에 해당하며, 중기(中氣)는 월중(月中)에 해당한다.
태양력에 의하면 절기는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중기는 19~23일 사이에 온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을 기준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절기를 나누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이며 춘분에서 하지 사이를 봄, 하지에서

추분 사이를 여름, 추분에서 동지 사이를 가을, 동지에서 춘분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는다.



24절기가 처음으로 쓰인 것은 중국의 주나라 때이다.

음력은 날짜를 세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면서 생기는 날씨의 변화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그래서 지구가 태양의주위를 도는 공전 주기를 24등분 한 후, 날씨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원이 360˚이고,  24등분 하면 한 칸은 15˚이니만큼, 15˚바뀔 때마다 황하 유역의 날씨를 나타내는 용어를 붙여 24절기를 완성했다.  

24절기는 음력을 사용하는 시대에 농사에 이용하기 위해 양력과는 상관없이 만들어졌지만,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움직임에 따라 생기는 현상을 24절기로 정했기 때문에 양력의 날짜와 맞게 되는 것이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부분 15일이지만 14일 또는 16일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원이 아닌 약간 찌그러진 타원모양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지구가 15˚를 움직이는데 걸리는 시간이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24절기 중 양력 날짜가 하루정도 차이가 나는 절기도 있다.

오랜 경험과 관찰을 통하여 양력과 음력이 19년마다 주기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첫 번째 절기로부터 며칠 후가 두 번째 절기, 몇 년째는 며칠 후가 몇 번째 절기 등의 규칙이 마련된 것이다.

또한 날짜가 경도에 따라 변하므로 매년 양력과 음력 날짜가 조금씩 달라진다.


음력의 날짜가 계절과 차이가 많이 날 때는 윤달[閏月]을 넣어 계절과 맞게 조정하는데
태양력을 사용하는 오늘날에도 농촌에서는 관습적으로 계절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24절기는 중국(화북지방)의 계절현상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꼭 들어맞지는 않는다는 설도 있다.

24절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양력 일자는 년도마다 하루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계절

     절기

         특징

계절

     절기

           특징

입춘(立春) : 양력 2월 4일

우수(雨水) : 양력 2월 19일

경칩(驚蟄) : 양력 3월 5일

춘분(春分) : 양력 3월 20일

청명(淸明) : 양력 4월 4일

곡우(穀雨) : 양력 4월 20일

봄의 시작

봄비가 내리고 싹이 틈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깸

낮이 길어지기 시작

봄 농사 준비

농사비가 내림

 

여름

입하(立夏) : 양력 5월 5일

소만(小滿) : 양력 5월 21일

망종(芒種) : 양력 6월 5일

하지(夏至) : 양력 6월 21일

소서(小暑) : 양력 7월 7일

대서(大暑) : 양력 7월 22일

여름의 시작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씨뿌리기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여름 더위의 시작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가을

입추(立秋) : 양력 8월 7일

처서(處暑) : 양력 8월 23일

백로(白露) : 양력 9월 7일

추분(秋分) : 양력 9월 23일

한로(寒露) : 양력 10월 8일

상강(霜降) : 양력 10월 23일

가을의 시작

더위 가고, 일교차가 커짐

이슬이 내리는 시작

밤이 길어지는 시기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서리가 내리기 시작

겨울

입동(立冬) : 양력 11월 7일

소설(小雪) : 양력 11월 22일

대설(大雪) : 양력 12월 7일

동지(冬至) : 양력 12월 21일

소한(小寒) : 양력 1월 6일

대한(大寒) : 양력 1월 14일

겨울의 시작

얼음이 얼기 시작

겨울 큰 눈이 옴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겨울 큰 추위


24절기는 음력에서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에 따라 1년을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구분으로

계절의 변화에 따른 24절기는 농사의 지표요, 구분이며 농경사회에 있어서는 한 절기, 하루라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1) 입춘(立春)

입춘은 첫 번째로 드는 절기로 양력 2월 4일경, 음력 1월, 태양의 황경이 315°이며,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가정에서는 콩을 문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대문기둥·대들보·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 붙인다.
마을에서는 공동으로 입춘 굿을 크게 하고 농사의 기초인 보리 뿌리를 뽑아 풍흉을 점쳤다.

대궐(大闕)에서는 설날에 문신(文臣)들이 지어 올린 연상시(延祥詩:신년축시) 중에서 잘된 것을 선정하여

대궐의 기둥과 난간에다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였는데, 일반 민가와 상점에서도 모두 입춘첩을 붙이고 한 해의 복(福)을 기원했다.


2) 우수(雨水)

절기의 두 번째 절기로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으며, 양력 2월 19일경, 음력 1월중, 태양의 황경이 330°이다.

양력 3월에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기도 하지만,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이다.

이때 물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다시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난다. 

우수에는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튼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라는 말이 있다.

3) 경칩(驚蟄)

양력 3월 6일경, 음력 2월, 태양의 황경이 345°이며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이 돋고 동면(冬眠)하던 동물이 깨어나며, 개구리들은 번식기인 봄을 맞아 물이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을 뿐 아니라 몸을 보한다고 해서 경칩에 개구리나 도롱뇽 알을 먹는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

또한 1년 동안의 빈대를 모두 잡기 위해 흙 담을 쌓거나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두기도 하였고,

단풍나무를 베어 나오는 물을 마시면 위병이 낫는다고 해서 약으로 먹기도 한다.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또한 경칩 날에 보리 싹의 성장을 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쳤다.


4) 춘분(春分)

양력 3월 21일경, 음력 2월. 태양의 황경이 0°.

춘분점(천구상(天球上) 황도(黃道)와 적도(赤道)의 교점 가운데에서 태양이 남쪽으로부터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을 통과한다.

즉 태양이 적도를 똑바로 비추고 있어서 낮과 밤의 시간이 같아진다. 농촌지역에서는 흙을 일구고 씨 뿌릴 준비를 한다. 

그러나 이때에는 바람이 많이 불어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2월 바람은 동짓달 바람처럼 매섭고 차다. 이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이때의 추운 바람과 추위를 ‘꽃샘바람’, ‘꽃샘추위’라고도 한다.

5) 청명(淸明)

양력 4월 6일경, 음력 3월, 태양의 황경이 15°이며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이다.
대부분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때로는 한식과 같은 날이 된다.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며, 농가에서는 봄 일을 시작하는 의미로 논 밭둑의 손질을 하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 된다.

다음 절기인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농사를 많이 짓는 경우에는 일꾼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청명, 곡우 무렵이면 서둘러 일꾼을 구하기도 하였다.


6) 곡우(穀雨)

양력 4월 20일경, 음력 3월, 태양의 황경이 30°이며 봄비가 내려 여러 가지 작물에 싹이 트고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된다.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므로 사람들은 곡우물을 먹으러 깊은 산이나 명산을 찾기도 하며,
수액(樹液)을 받기 위해 나무에 홈을 파고 통을 매달아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고 해서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다.


7) 입하(立夏)

양력 5월 5일경, 음력 4월, 태양의 황경이 45°이며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사일이 분망해지며,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도 많이 자라게 된다.
이 무렵에는 쑥버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8) 소만(小滿)

양력 5월 21일경, 음력 4월, 태양의 황경이 60°이며 햇볕이 충만하고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뜻이다.

초여름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기 시작한다.


9) 망종(芒種)

양력 6월 6일경, 음력 4·5월, 태양의 황경이 75°이며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며,
이 시기가 끝날 때까지 밭보리는 베어 햇보리를 먹게 되며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므로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이다.

아이들은 보리이삭 줍기와 보리 그슬리기에 바쁘다.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없다는 풍습이 있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망종의 시기로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음력 4월중에 망종이 들면 좋다고도 한다.

10) 하지(夏至)

양력 6월 21일경, 음력 5월, 태양의 황경이 90°로, 12시에 태양이 가장 높게 뜬다.

이날은 태양이 황도상의 가장 북쪽인 하지점에 이르러, 북반구에서는 낮 시간이 1년 중 가장 길고 일사량과 일사시간도 가장 많다.

하지(夏至) 이후에 더워지기 시작하여 삼복(三伏)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에 모두 끝난다.

햇감자가 나오고, 이 시기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마을마다 기우제를 올렸다. 

강원도지역에서는 파삭한 햇감자를 캐어 쪄먹거나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


11) 소서(小暑)
양력 7월 7일경, 음력 6월, 태양의 황경이 105°이며 차츰 더워진다. 더위와 함께 한국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고 논두렁에 잡초를 뽑는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므로 온갖 과일과 소채가 풍성해지고 밀과 보리도 먹게 된다.
특히, 음력 5월 단오를 전후하여 시절 식으로 즐기는 밀가루음식은 이맘 때 가장 맛이 나며, 소채류로는 호박, 생선류는 민어가 제철이다. 

12) 대서(大暑)
양력 7월 23일경, 음력 6월, 태양의 황경이 120°이며 더위가 극도에 달한다.

이때는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이 무렵에는 몹시 더우며, 소서 때로부터 장마전선이 형성되어 큰 장마가 지기도 한다.
또한, 참외나 수박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햇보리를 먹게 되고 채소가 풍족하며 녹음이 우거지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이 난다.

13) 입추(立秋)

양력 8월 7일경, 음력 7월, 태양의 황경이 135°이며 가을이 시작되어 서늘한 바람이 분다.
농촌에서는 다소 한가하며, 김장용 무·배추를 심는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다는 뜻으로 어쩌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칠월칠석을 전후하여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때부터 가을채비를 시작하여야 한다.

14) 처서(處暑)

양력 8월 23일경, 음력 7월 중순, 태양의 황경이 150°이며 쌀쌀해지기 시작하고 논벼가 익는다.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고 하여 처서라 하며,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이불, 책 등을 햇볕에 말린다.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서 풀이 더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이나 산소의 풀 벌초를 한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침과 저녁으로 서늘해 일교차가 심해진다.

한편,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에 천석 감한다.’고 하여 곡식이 흉작 든다고 한다.


15) 백로(白露)

양력 9월 8일경, 음력 8월, 태양의 황경이 165°이며, 가을 기분이 들기 시작하는데, 이슬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는 뜻이다.
장마가 끝나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때로는 늦은 태풍과 해일의 피해를 입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켜서 풀잎에 이슬이 맺혀 가을 기운이 완전히 나타난다.
백로 무렵이면 고된 여름 농사를 다 짓고 추수까지 잠시 일손 을 쉬는 때이므로 가까운 친척을 방문하기도 한다.

16) 추분(秋分)

양력 9월 23일경, 음력 8월. 태양의 황경이 180°.

추분점(천구상(天球上) 황도(黃道)와 적도(赤道)의 교점 가운데에서 태양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에 이르러,

춘분으로부터 꼭 반년 째 되는 날로 낮과 밤의 길이가 똑같아진다.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므로 계절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목화를 따고 고추도 따서 말리는 등 잡다한 가을걷이 일이 있다.  각종 여름 채소들과 산나물 등을 말려두기도 한다.

즉 호박고지, 박고지, 깻잎, 호박순, 고구마 순, 산채 등을 말려 묵은 나물을 준비한다. 이 무렵의 시절음식으로는 버섯요리를 대표적으로 꼽는다.

17) 한로(寒露)

양력 10월 8일경, 음력 9월, 태양의 황경이 195°이며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여 농촌에서는 추수로 바쁜 시기이다.
예전에는 이때를 전후해 국화전을 지져 먹고, 국화 술을 담갔으며 수유(茱萸)를 머리에 꽂아 잡귀를 쫓았다.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찬이슬이 맺힌다. 기온이 더욱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타작이 한창인 시기이다.
한로를 전후하여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 술을 담그며, 온갖 모임이나 놀이가 성행한다.


18) 상강(霜降)

양력 10월 23일경, 음력 9월, 태양의 황경이 210°이며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밤 기온은 서리가 내릴 정도로 매우 낮아져서 춥다.

이맘때쯤이면 추수가 거의 끝나고, 동물들은 일찌감치 겨울잠에 들어간다.
9월 들어 시작된 추수는 상강 무렵이면 마무리가 된다.


19) 입동(立冬)

양력 11월 7일경, 음력 10월, 태양의 황경이 225°이며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각 가정에서는 이날을 기준으로 김장준비를 한다. 김장은 입동 전 혹은 입동 직후에 하여야 제 맛이 난다.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집안 곳곳에 놓고 제사를 지내며 토광, 터주단지에 가져다 놓았다가 먹고,

농사에 애쓴 소에게도 가져다주며,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20) 소설(小雪)

양력 11월 22일경, 음력 10월, 태양의 황경이 240°이며 땅이 얼기 시작하고 살얼음이 얼며 차차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가끔은 햇볕이 따뜻해 소춘(小春)이라고도 하나 이때가 되면 바람이 몹시 불어 어촌에서는 뱃길을 금했다.

고려 때 손돌(孫乭)이라는 뱃사공이 왕을 모시고 김포와 강화도 사이의 염하(鹽河)강을 건너는데 갑자기 바람이 불어 풍랑이 심하게 일자 배가 몹시 흔들렸다.
왕은 사공이 배를 일부러 흔든 줄 알고 사공의 목을 베었다. 이때부터 이곳을 사공의 이름을 따서 손돌목이라 했으며 매년 이맘때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하고

김포지역에서는 매년 손돌제를 올린다.


21) 대설(大雪)

양력 12월 7일경, 음력 11월, 태양의 황경이 255°이며 눈이 많이 내리는 계절이다.
이 시기에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대설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한편, 이날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이 된다고 한다.


22) 동지(冬至)

양력 12월 22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270°이며 북반구에서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며, 추위도 점차 심해지기 시작한다.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르러 극에 도달하고,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팥죽을 쑤어 이웃과 나누어 먹고,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았다.
새 달력을 만들어 걸었으며, 뱀 사(蛇)자가 쓰인 부적을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여 놓기도 했다.
이날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고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들 것을 예상하기도 했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 (亞歲)’라 했고, 민간에서는 흔히 ‘작은 설’이라 하였다고 한다.

태양의 부활을 뜻하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 가는 작은설의 대접을 받은 것이다.

그리하여 ‘동지를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한다.

동짓달에 동지가 초승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들면 노동지라고 한다.

매년 동지 무렵이 되면 제주목사는 특산물로서 귤을 상감에게 진상하였다.

동지팥죽은 이웃에 돌려가며 서로 나누어 먹기도 한다.

동짓날 팥죽을 쑤게 된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 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신(疫神)이 되었다고 한다.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하여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것이다.


23)소한(小寒)

양력 1월 5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285°이며 본격적으로 추워지며 한국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이다.
절기의 명칭으로는 다음의 절기 '대한(大寒)'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추워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말이 전한다.

24)대한(大寒)

양력 1월 20일경, 음력 12월, 태양의 황경이 300°이며 보통 동지가 지난 한 달 후 또는 소한이 지난 반 달 후에 온다.
겨울의 매듭을 짓는 절후로 추위의 절정기이나, 소한에 얼었던 얼음이 대한에 녹을 정도로 따뜻한 해도 있다.
이날 밤에 콩을 땅이나 마루에 뿌려서 악귀를 쫓아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풍습이 있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에서 시작하여 소한으로 갈수록 추워지며 대한에 이르러서 최고에 이른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절후에 의한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1월 15일 경이다.
그래서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었다.',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도 있다.

~~~~~~~~~~~~~~~~~~~~~~~~~~~~~~~~~~~~~~~~~~~~


<명절과 풍습 간략 소개>

설날-원단(元旦), 세수(歲首) · (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 · 한식(寒食) ·단오(端午) · 백중(百中) · 삼복(三伏) · 추석(秋夕) · 동지(冬至)


설날-원단(元旦), 세수(歲首) 음력 정월 초하룻날 설날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복조리 사려’라고 외쳐댄다.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이 새 옷을 설빔이라 한다.

아침에는 가족 및 친척들이 모여들어 정초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는 모처럼 자손들이 모두 모여 오붓하게 지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순서를 따져 세배를 올린다.

떡국으로 마련한 세찬(歲饌)을 먹고 어른들은 세주(歲酒)를 마신다.

세찬이 끝난 후에는 차례 상에서 물린 여러 명절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飮福)이 마련된다.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며 덕담을 나누고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해준다. 이웃 및 친인척을 찾아서 세배를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이다.

중류 이상의 가정에서는 부녀자의 외출이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에 문안비(問安婢)라 하여 여자종을 성장시켜 일가친척에 보내어 신년문안을 드리게 했다. 

정초에 어른이나 친구를 만나게 되면 말로써 새해인사를 교환하는데 이를 덕담이라 한다.

"과세 안녕하셨습니까?" 또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하는 식으로 설날인사를 한다. 벼슬을 하는 집에서는 옻칠을 한 책상을 대청에 비치해둔다.

그러면 밑에 거느린 아전들이 종이를 접어 이름을 써서 책상 위에 놓아두고 간다.

이는 새해 문안드린다는 뜻이며, 각 관청의 서리와 영문(營門)의 교졸(校卒)들도 종이에 이름을 적어 관청이나 선생의 집에 들이는데 이를 세함(歲銜)이라 했다.


이날 조상의 무덤을 찾아나서는 성묘도 행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의 묘에 고하는 것이다.

정초에는 여러 가지 제액을 물리치는 속신이 있는데, 삼재(三災)를 물리치는 부적이나 문에 걸어두는 세화(歲畵), 귀신이 신을 신고 가면 불길하다고 신을 감추는 야광귀(夜光鬼) 쫓기, 각 간지(干支)마다 금기할 사항과 해야 할 일을 정해두는 속신이 있다.

이 날은 윷놀이·종정도놀이·널뛰기·연날리기 같은 세시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

대보름날은 우리 민족의 밝음 사상을 반영한 명절로 다채로운 민속이 전한다.

중국에서는 이 날을 상원(上元)이라 하는데 도교적인 명칭으로 천관(天官)이 복을 내리는 날이라 한다.

여기에 중원인 7월 15일, 하원인 10월 15일을 합하여 삼원이라 부른다.

이 밖에도 원소절(元宵節), 원석(元夕)이라 하며, 일본에서는 소정월(小正月)이라 하여 공휴일로 정해 명절로 삼고 있다.


대보름날의 각종 풍속은 전체 세시풍속 중 반의반이 넘을 정도로 풍부한데 설 풍속을 합치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이것은 정초와 대보름 명절이 우리 민속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이들은 상호 유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월 중에 많은 세시행사가 모여 있다.

정월에 드는 설과 대보름은 상호보완적으로 설날이 개인적 ·폐쇄적 ·수직적이고, 피붙이의 명절임에 반해 대보름은 개방적 ·집단적 ·수평적 ·적극적인 마을공동체 명절로 두 관념이 교차하며 달의 생성과 소멸주기에 따라 긴장과 이완, 어둠과 밝음, 나에서 우리로 교체 ·확장되는 일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한국의 명절 중 정월 대보름의 예축의례와 상대적인 명절로 수확의례인 8월 한가위의 보름 역시 만월을 통한 풍요관념을 보여준다.


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 ·여성 ·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하다.

땅과 달을 여성으로 여긴 것은 오랫동안 전해온 지모신(地母神)의 생산력 관념에서 나온 것이다.

《태종실록》에 전하는 경기도 연안부의 용갈이, 용경(龍耕)풍속이나 《동국세시기》에 전하는 홍주의 용경과 용알뜨기 민속, 영동지방의 용물달기 등은 용신(龍神)신앙이 농경의례와 밀접함을 보여준다. 줄다리기 역시 용사(龍蛇) 신앙의 한 표현이다.

따라서 대보름 달빛은 어둠과 질병, 재액을 밀어내는 밝음 상징이므로 동제(洞祭)를 지내고 개인과 집단적 행사를 한다.

전하는 말에는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든가 “중국 사람은 좀생이별을 보고 농사짓고, 우리나라 사람은 달을 보고 농사짓는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문화유형이 다름을 말해준다.

개인적인 기복 행사로는 부럼 깨물기, 더위팔기, 귀밝이술마시기, 시절음식인 복쌈이나 묵은 나물먹기와 달떡을 먹는 것이 있으며, 줄다리기 ·다리밟기 ·고싸움 ·돌싸움 ·쥐불놀이 ·탈놀이 ·별신굿 등은 집단의 이익을 위한 대보름 행사다.

한식(寒食) 음력 4월 5·6일경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인데 이날 국가적인 행사로 종묘와 능원(陵園)에 제향을 올리고, 각 가정에서도 성묘를 한다.
한식에 대한 유래는 중국의 풍습 가운데 하나로 매년 이날은 풍우가 심하기 때문에 불을 금하고 식은 밥을 먹게 되었다는 설과

진나라의 현인(賢人) 개자추(介子推)가 산에서 타 죽자 이를 애도하는 뜻으로 이날만은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었다는 2가지 설이 있다.

단오(端午) 음력 5월 5일

명절의 하나로 단양(端陽)·중오절(重午節)·천중절(千中節)·수릿날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풍작을 기원하는 제삿날로 수리취 잎을 넣어 만든 절편을 만들어 먹었으며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뛰기를 하고 남자는 씨름을 하던 풍습이 있다.

삼복(三伏) 음력 6~7월에 있는 3번의 절기

삼복은 더위가 시작되는 날로 소서 뒤에 초복(양력 7. 20경), 대서 뒤에 중복(양력 7. 30경), 입추 뒤에 말복(양력 8. 9경)이 온다.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의 삼복을 이른다.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3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4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부터 첫 번째 경일이다.

예로부터 '삼복더위'라고 하는 말이 있는데 1년 중 더위가 가장 심한 때이기 때문이다.

대개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있지만 월력에 따라 열흘을 더 띄우고 오는 경우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말복이 지나야 더위가 완전히 지났다고 하며 복날은 더위를 이기는 음식인 삼계탕이나 개고기 등을 먹는 풍습이 있다.

삼복에는 이 더위를 이기기 위해 산간계곡을 찾아서 피서를 겸해 청유(淸遊)를 즐기고, 보신탕(개장국)·삼계탕(蔘鷄湯) 같은 자양분이 많은 음식으로 몸을 보신한다.

또한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을 예방한다 하여 팥죽을 쑤어 먹기도 한다.

전라도에서는 밀전병이나 수박을 먹으며, 충청도에서는 복날 새벽 일찍 우물물을 길어다 먹으며 복(福)을 빌었다.

또 해안지방에서는 백사장에서 모래찜질로 더위를 이겨내기도 한다.


백중(百中) 음력 7월 15일

백종(百種)·중원(中元)·망혼일(亡魂日)이라고도 한다. '백중'은 이때쯤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와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놓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절에서는 재(齋)를 올리고 공양을 드렸으며, 민간에서는 100가지의 과실을 차려 제사를 지내고 남녀가 모여 음식을 먹고 노래와 춤을 즐겼다.

가정에서는 한창 익은 과일을 따서 사당에 천신차례를 올리고 백중잔치를 한다. 백중을 전후로 장이 섰는데 이를 백중장(百中場)이라 했다.

머슴이 있는 집에서는 이날 하루는 일손을 쉬고 머슴에게는 휴가와 돈을 주어 백중장에 가서 하루를 즐기도록 했다.

백중장이 성시를 이루면 씨름판과 장치기 등의 놀이도 펼쳐진다. 또한 한 해 농사를 잘 지은 집의 머슴을 소나 가마에 태워 마을을 돌면서 사기를 북돋아준다.

백중 때가 되면 농사일이 거의 끝나서 농부들은 호미를 씻어두는데 이를 '호미씻이'라고 한다.

원래 백중날 하루만은 일손을 놓고 쉬지만 제주도에서는 해산물 따기에 분주하다. 그것은 백중날에 살진 해산물이 많이 잡히기 때문이다.


추석(秋夕) 음력 8월 15일

중추절(仲秋節)·가배(嘉俳)·가위·한가위라고도 한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어 차례를 올리고 벌초와 성묘를 한다.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시기이므로 명절 중에서 가장 풍성한 때이다.

유래는 고대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했으며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儒理王) 때 6부(六部)의 여자들을 둘로 편을 나누어 두 왕녀가 여자들을 거느리고 7월 기망부터 매일 뜰에 모여 밤늦도록 베를 짜게 했다. 8월 보름이 되면 그동안의 성적을 가려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했다. 이때 〈회소곡 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라고 불렀다. 고려시대에도 추석명절을 쇠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으로 선대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이 있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다.


추석날 아침에는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여름비에 무너진 무덤 보수와 벌초를 한다. 조상 상에 바치는 제물은 햇곡으로 준비하여 먼저 조상에게 선보이며 1년 농사의 고마움을 조상에게 전한다. 성주·터주·조상단지 같은 집안 신들도 햇곡식으로 천신(薦新)하며 추석치성을 올린다. 추석에는 정월 대보름보다는 작지만 풍성한 민속놀이도 행해졌다. 씨름·소놀이·거북놀이·줄다리기 등을 즐긴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제주도 풍속에는 조리희(照里戱)라 부르는 줄다리기, 그네, 닭 잡는 놀이인 포계지희(捕鷄之戱) 같은 놀이가 있다.

수확 철이라 다양한 음식이 선보이며 추절시식(秋節時食)이라 하여 햅쌀로 술을 빚고 송편을 만들며 무나 호박을 넣은 시루떡도 만든다. 찹쌀가루를 쪄서 찧어 떡을 만들고 콩가루나 깨를 묻힌 인병(引餠), 찹쌀가루를 쪄서 꿀을 섞어 계란처럼 만든 율단자(栗團子)도 만들어 먹었다.

또 반보기의 풍습도 있었는데, 반보기란 시집간 여자가 친정에 가기 어려워, 친정부모가 추석 전후로 사람을 보내 만날 장소·시간을 약속하여 시집과 친정 중간쯤에서 만나는 것이다. 지금은 이 풍습이 없어졌지만 추석 뒤에 음식을 장만하여 친정에 가서 놀다 오게 한다.


추석은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의 고유한 명절로 자리 잡고 있어, 추석이 되면 많은 사람이 고향을 찾아간다. 북한에서는 추석을 쇠지 않았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공휴일로 정했다.


동지(冬至) 음력으로 11월 중기(中氣). 양력 12월 22일경

동지를 ‘다음 해가 되는 날(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 해서 크게 축하하는 풍속이 있었다.

궁중에서는 이 날을 원단(元旦)과 함께 으뜸 되는 축일로 여겨 군신과 왕세자가 모여 ‘회례연(會禮宴)’을 베풀었으며,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추어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하였다. 또 지방에 있는 관원들은 국왕에게 전문(箋文)을 올려 진하(陳賀)하였다. 관상감에서 만들어 올린 달력을 ‘동문지보(同文之寶)’란 어새(御璽)를 찍어서 모든 관원들에게 나누어 주는데, 이 달력은 황장력(黃粧曆)·청장력·백력 등의 구분이 있었고, 관원들은 이를 다시 친지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민가에서는 붉은 팥으로 죽을 쑤는데 죽 속에 찹쌀로 새알심을 만들어 넣는다. 이 새알심은 맛을 좋게 하기 위해 꿀에 재기도 하고, 시절 음식으로 삼아 제사에 쓰기도 한다. 팥죽 국물은 역귀(疫鬼)를 쫓는다 하여 벽이나 문짝에 뿌리기도 한다.

이러한 풍속은 여름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하였다.

또한, 내의원(內醫院)에서는 전약(煎藥)이라 하여 쇠가죽을 진하게 고아 관계(官桂)·생강·정향(丁香)·후추·꿀 등을 섞어 기름에 엉기게 하여 굳힌 후 임금에게 진상하여 별미로 들게 하였다. 그 밖에 고려 ·조선 초기의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