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 파일 1.

복부밀쳐올리기-하임리히처치법-.hwp
0.74MB

첨부 파일 2.

하임리히처치법,심폐소생술-뒤2.hwp
0.06MB

남을 살리는 응급 처치1: < 생명을 살리는 기적 '심폐소생술' >

심폐소생술관련 추천 유튜브 영상

-[유튜브]에서 아래 제목으로 검색하여,심폐소생술기법을 익혀둔다.

A1.표준 '심폐소생술':[심폐소생술] 올바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법(유튜브 검색)

A2.성인 '심폐소생술':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유튜브 검색)

A3.영유아 '심폐소생술':우리 아이를 위한 영아 및 소아 심폐소생술(유튜브 검색)

 

남을 살리는 응급 처치2: <‘하임리히법’>

B1.성인.음식물로 기도가 막혔을 때는? 하임리히법(유튜브 검색)

B2.성인.응급상황 대처 하임리히법 (유튜브 검색)

B3.영유아.위급한 내 아이를 살리는 하임리히법 완전정복!(유튜브 검색)

B4. 참고: 스스로 시행하는 하이리리법(유튜브 검색) 

 

쓰러진 사람을 발견한다면 가장 먼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상태인지 확인해야(알아야) 한다.

심정지 발생부터 가능한 빨리(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작되어야 생존 가능성이 높아 진다.

영유아'심폐소생술은 성인과 다르므로 유튜브 영상 A3을 참고할 것.

 

< 환자(요 구조자) 상태 학인 및 행동 요령 >:성인(어른)의 경우-유튜브 영상 1,2번 참고

환자를 깨워도 반응이 없고 환자가 축 늘어진 상태이면 심정지 상태를 의심해야한다.

-만약, 기도가 막혀 호흡을 못하는 경우,‘하임리히법을 먼저 시행해야 한다.

-(환자에게)여보세요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제말 들려요?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환자의 반응을 살핀다.

만약, 환자의 반응이 없을 경우 심정지 상태를 의심하고 재빨리 도움을 청해야 한다.

 

*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 신고 및 도움 요청 *

-(저기 안경 쓴) 남자분 119에 신고해 주세요./ -(청바지 입은 분) 심장 충격기 가져다 주세요.

- 환자가 호흡하는지(숨을 쉬는 지), 심장은 뛰고 있는 지, 경동맥(목 좌우의 동맥)촉진이나

손목 동맥(맥박) 촉진 또는 (가슴에서) 직접 심장음을 청취해 본다.

*‘심폐소생술실시 하는 법- 위에 소개한 유튜브 영상 A1, A2 참고
심정지 환자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바로심폐소생술이다.
1.우선 환자를 평평한 바닥에 눕힌 뒤 환자의 가슴 옆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2.환자의 윗 옷을 벗겨 가슴을 드러내 정확한 가슴 압박 위치를 확인한다.
가슴 압박 위치=(명치 바로 위) 가슴뼈 중앙 아래쪽 2분의 1 지점
3.가슴 압박 위치에 손꿈치(손바닥의 두툼한 부분과 손목 사이)를 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포갠 뒤 손가락은 깍지를 껴서 환자의 가슴에 손꿈치만 닿도록 한다.
4.팔꿈치를 곧게 펴 어깨와 팔꿈치 손꿈치가 수직이 되게 .
5.환자의 가슴을 약 5cm 깊이로 수직으로 힘차게 누른다.(최대 6cm를 이하로)
압박 후에는 가슴이 원래 위치로 올라오도록 () 힘을 완전히 빼 준다.
6.이렇게 분당 100에서 120회 속도로 30회 실시한다.
환자가 스스로 호흡하지 못할 경우,(30초마다) 호흡을 불어넣어 준다.
(시술자는 호흡을 크게 들이마신 후 환자의 코를 막고 환자의 입으로 불어넣음)
7.구급대원이 올 때까지 멈추지 말고 6번과정을 반복한다.
8.‘심장충격기가 있으면 심장 리듬을 돌리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심장충격기 사용 후, 사람이 하는 가슴압박(심장 압박)은 다시 계속해야 한다.
* 전기 충격기 사용법은 위 유튜브 영상(A1.유튜브 참고)을 참고할 것!

 

남을 살리는 응급 처치2: <‘하임리히법’>

-신속한 응급처치로 회생 가능한 기도폐쇄증-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복부 밀쳐 올리기추천 유튜브 영상

-[유튜브]에서 아래 제목으로 검색하여,하임리히법을 익혀둔다.

B1.성인.음식물로 기도가 막혔을 때는? 하임리히법(유튜브 검색)

B2.성인.응급상황 대처 하임리히법 (유튜브 검색)

B3.영유아.위급한 내 아이를 살리는 하임리히법 완전정복!(유튜브 검색)

 

기도가 막혀 말을 못하고 숨을 쉬지 못하며 얼굴이 파랗게 질리는 것은 기도폐쇄의 증상이다. 완전 기도폐쇄가 아닌 경우 큰 기침을 하게 하면 이물이 제거되기도한다. 만약, 기도가 꽉 막혀있는 데 인공호흡을 실시하면 이물질이 더 깊숙히 들어갈 수 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기침을 해도 이물질이 배출안되거나, 등을 두드려줘도 기도에 이물질이 걸려 호흡안 될 때의 응급처치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이다. 이 처치법은 이물질이 기도에 걸려 숨을 못쉬는 환자의 복부를 압박하는 응급처치법으로 샴페인 마개를 터뜨리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말로 복부 밀쳐 올리기라고도 한다.

< 성인(어른)하임리히법=복부 밀쳐 올리기> ‘B1, B2 유튜브 참고

<하임리히법실행하는 법 > ‘B1, B2 유튜브 참고
1. 환자를 세우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고 
   시술자의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손의 엄지를 그 주먹 속에 끼운다.
2.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 복부를 45도 위쪽 머리쪽으로 세차게 밀쳐 올린다.
이 동작을 연속으로 계속하지 말고,한번 실시 후 이물질이 제거됐는지 확인!.
환자가 임산부이거나 비만이 심한 사람이면 복부 밀쳐 올리기가 불가능하다.
이 때는 구조자가 환자의 복부 대신 흉부를 압박하는흉부압박법을 실시함.
3. 기도에 걸린 음식물이 튀어 나올 때까지 이 처치법(과정)을 반복한다.
4. 만약, 처치 중간에 환자가 의식을 잃고 축 늘어지고, 심장 박동이 없으면 앞서 말한심폐소생술을 해야할 수도 있다.
5. 이물질이 제거되고 환자가 숨을 쉬거나 혹은 기침을 하면 복부 밀쳐 올리기를
중단하고 환자가 스스로 자유롭게 호흡(자가호흡)을 잘 하는지 지켜본다.
6. (자가)호흡이 돌아왔더라도 바로 물이나 음식을 주지 않는다.
상태가 충분히 안정되면 물 등 음료수를 먹을 수 있다.
7. 하임리히법후 의식이 돌아온 뒤에는, 배 안의 장기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다. 반드시 의료 기관을 방문해서 확인한다.(성인이나 어린이 모두 해당)

환자를 앞으로 (30) 수그리게 하고, 음식물이 튀어 나올 때까지 환자의 등을 세게 '!!'친다. 5~6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했을 경우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하임리히 요법의 응용형으로...  내 목에 뭔가가 걸려서 내가 숨을 못쉬게 됐는데 주위에 도와줄 사람이 없다면...

(도움 받을 사람이 없을 때) 조치법.=> 내 스스로 하는하임리히법
1.이런 경우 침착하게 주변에서 뭉툭하고 볼록 튀어나온 곳을 찾는다.
예컨대 침대 모서리에 배게를 쌓거나 의자나 책상 모서리도 좋다. , 너무 뾰족
하면, 수건이나 옷을 말아 덮어서 두리뭉실하게(너무 뾰족하게 않게)한다.
3.자기 명치 아래 복부 부위를 그곳에 바짝 눌러 대고, 상체를 배게나 의자,책상
모서리 쪽으로 (아래로) 세게(빠르게) 밀어준다.
다른 사람이 처치해줄 때와 원리는 같다. 뭉툭한 모서리나 배게가 내 배를
눌러 밀쳐 올리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참고: 스스로 시행하는 하이리리법(유튜브 검색)

 

B3.위급한 내 아이를 살리는 하임리히법 완전정복!(유튜브 검색) < 어린이-하임리히 처치법 > (B3 유튜브 참고).

아이가 콩이나 땅콩, 미니컵 젤리를 먹다가 목쉰 소리나 기침을 하더니, 얼굴색이 파랗게 변하고 말하거나 울지도 못한다면, 기도에 이물이 걸렸을 가능성이 많다.

이 때 아이는 두 손으로 목을 움켜쥐고(V 사인) 목에서 쌕쌕거리는 심한 천명음을 낼 수 도 있다. 아이가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을 때에는, 기도에 이물이 걸려 있는 지 먼저 확인한 후심폐소생술보다 하임리법을먼저 실시한다.

 

4세 이상의 어린이는 몸을 수그리게 하고 등을 탁! ! 쳐서(두드려) 이물질이 튀어

나오게 응급 처치를 해본다. 어린이에게 등을 쳐줘도 이물질이 안 나오면 어른의 경우처럼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구조자가 환자 무릎 쪽에 앉아 두 손을 환자의 배쪽에 넣고, 섰을 때의 자세와 마찬가지로 등쪽으로 배를 밀쳐올린다(배에 압박을 세게 가한다).

B1, B2 유튜브 참고

 

또한 심박동이 있는 지 확인하고 심정지 상태이면심폐소생술(심장 마사지)’동시에(병행 실시) 해야 한다.

 

1.(0~4세의 영유아) 왼손으로 아이 턱을 받치고
(시술자의 엄지와 검지로 아이 입을 벌린다
 .-이물질이 쉽게 나오게)

2.아이를 무릎 위에 엎은 다음,
 아이 등을 손바닥으로 5번 정도
(음식물이 튀어 나올 정도로)   연속적으로 세게 '탁,탁' 친다.
3.기도에 걸린 음식물이 튀어 나올 때까지 '탁,탁'친다

0~4세의 영유아는 어린이(영유아)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B3 유튜브 참고).

0~3세 영아의 어린이(영유아) 하임리히법 구조가가 한 손으로 영아의 턱과 가슴을 받친 자세에서 영아의 견갑골(어깨뼈) 사이를 5회 정도 탁!! 쳐준다. 아이를 한 손 위에 엎어놓은 채 다른 손으로 등을 쳐준다. 이 때 아이를 받치지 않은 채 다리를 거꾸로 들고 등을 치면 영유아의 대퇴부와 고관절이 탈구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C. 응급상황에 대한 사전 대비(준비)

1. 6세 이하 이린이에겐 인식표 팔찌를 채우거나 목걸이를 해준다.

필요시 미아 방지 GPS 추적기실종 방지 스마트 폰 어플을 설치해 둔다.

내용: 어린이 이름, 생년월일, 혈액형, 보호자 이름, 보호자 연락처(2)

2. 65세 이상 노인(특히 치매 노인)에겐 인식표 목걸이를 해준다.

치매 노인실종 방지 인식표 목걸이는 각 지자체에서 배부 중이며,

필요시 GPS 추적기실종 방지 스마트 폰 어플을 설치해 드린다.

내용: 어르신 이름, 생년월일, 혈액형, 보호자 이름, 보호자 연락처(2)

(평소 약물 복용 중이면) 병명+약물 내용과 용량 memo

어르신 사고 방지:화장실 미끄럼 방지 깔개, (노인)전동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3. 6세이하의안전 사고예방법(대개의 사고는 집 안에서 일어남)

- 집안의 전기 콘센트(플러그)에 안전캡, (문틈, 경첩) 손끼임 방지탭을 끼운다.

- 어린이가 갖고 놀기에 위험한 물건은 치우고, 필요시 매트나 차단벽을 설치한다.

위험한 물건 예: 가위, , 젓가락, 다리미, 전기 포트 등 전기 용품

- 위험한 장난이나 높은 곳 올라가거나 위험한 장소에서 놀지 않도록 교육한다.

- 부모나 보호자는 어린이가 위험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식탁에 커피 물 끓이려다가 한 눈 파는 사이 커피물에 아기가 화상 입은 사례

- 아이가 컵 젤리를 먹거나 땅콩이나 콩 종류를 먹을 때 보호자는 주의해야 한다.

- (자동차) 건널목 때는손을 들고 건너고, 뛰지 말고 건너기를 교육한다.

 

4. 성인(어른)이 갑자기 의식을 잃었을 경우

- 환자가 음식(호떡,젤리) 먹다가 기도에 걸려 숨을 못쉬면 하임리히법실시한다.

하임리히법실시법은 유튜브 검색해서 알아두거나 별도 인쇄물을 참고 한다

-119 신고하고, 환자가 있는 장소를 알려준다.현관문 열어두고 아파트 비번 알림.

- 손을 딴다거나 청심환 따위를 먹이지 않는다.

- 환자가 호흡이 없고 맥박(손목,경동맥) 촉진 안 되면 심폐소생술실시한다.

심폐소생술실시법은 유튜브 검색해서 알아두거나 별도 인쇄물을 참고 한다.

5.‘당뇨병 환자(갑자기) 의식을 잃었을 경우

저혈당’ : 어지럽고, 기운없고, 식은땀, 가슴답답하거나 기운이(힘이) 쑥 빠지고,
가라앉는 느낌이 있으면 저혈당이 발생된 것일 수도 있다.
1. 만약 저혈당이 의심되면, 혈당 검사한다.
   혈당 수치 90mg/𝒹𝓁 미만이면서 이런 증상이
   있으면 저혈당 쇼크처치를 한다.
2. (의식이 있고)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면,
   설탕물, 쥬스, 요구르트를 먹거나 사탕, 쵸콜릿 등을 먹는다.
3. (의식이 없거나 음식을 삼키지 못하면)
   119 연락하여 병원에서 응급 처치한다.
당뇨병 환자의 저혈당 원인 4가지
1. (실수로) 약을 2번 먹거나, 주사를 2번 중복 주사
2. 두 끼 식사 못한 상태에서 약을 먹거나 주사한 경우
3. 부실하게 먹은 상태에서, 심한 일이나 운동을 한 경우
4. 제때에 식사 못한 경우 (식사 시간이 늦었을 경우)

< 당뇨병 환자라면 본인 또는 보호자는 저혈당 대처법을 알고 있어야한다. >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