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아래에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를 열거하였습니다.

참조 바랍니다.

     

    1. 요/오

    “꼭 답장 주십시요.”, “수고하십시요” 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요”를 “오”로 바꿔 써야 맞습니다.


    반면, “꼭 답장 주세요”, “수고하세요”에서는 “요”가 맞는데,
    세상만사가 그렇듯이 원리를 따지면 복잡하니 간단히 암기합시다.


    말의 마지막에 “-시요”를 적을 일이 있을 때는 꼭 “-시오”로 바꿔 씁시다.

     


    2. 데로/대로

    “부탁하는 데로 해 주었다”, “시키는 데로 했을 뿐”은 틀린 말입니다.

    “데로”를 “대로”로 고쳐야 맞습니다.


    그러나 모든 “데로”가 다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

    “조용한 데로 가서 얘기하자”의 경우는 “데로”가 맞습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장소를 나타내는, 즉 “곳”으로 바꿔 말이 되는 곳은 “데로”,
    이외의 경우에는 “대로”로 씁니다.

     


    3. 음/슴

    언젠가부터 모든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었습니다.


    그러자 응용력이 뛰어난 많은 분들이 이 원리를 적용해
    “밥을 먹었음”을 “밥을 먹었슴”으로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슴”, “가슴”등의 명사말고 말끝이 “슴”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으니,
    말끝을 “음”으로 바꿔 말이 되면 무조건 “음”으로 적읍시다.

     


    4. 으로/므로

    많이 틀리면서 외우기도 상당히 어려운 고난도 기술입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꼭 연마해 두시기 바랍니다.


    일단 맞게 적은 예를 봅시다.
    “부재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 부재중이기 “때문에”의 뜻일 때는 “므로”

     

    “편지를 보냄으로 대신한다.” → 편지를 보내“는 것으로”의 뜻일 때는 “ㅁ+으로”


    따라서 “바쁨으로 깜박 잊었다”라든지,
    “혼잡함으로 후문을 이용해 주십시오”는  다 “므로”로 바꿔써야 합니다.

     

    이 둘을 확실히 구별하는 방법은,
    “때문에”로 바꾸어 말이 되는지 보는 것입니다.
    된다면 무조건 “므로”로 적어야 맞습니다.

     

    추가정보 :
    “그러므로” → “그렇기 때문에”
    “그럼으로” → “그러는 것으로”
    “일을 하므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기 때문에 보람을 느낀다”
    “일을 함으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는 것으로 보람을 느낀다”

     

     

    5. 되다/돼다

    우리말에 “돼다”는 없습니다.


    “돼”는 “되어”를 줄인 말이므로,
    풀어보면 “되어다”가 되므로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됐다”는 “되었다”이므로 맞는 말입니다.


    흔히 틀리는 경우가 “돼다”, “돼어”등이 있는데,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 “돼”라고 적으려 시도를 하면서,
    “되어”로 바꾸어 보면 됩니다.

     

    “됐습니다” → “되었습니다”


    “안 돼” -→ “안 되어”

    (늘 줄여놓는 말만 써서 좀 이상해 보이지만 원형대로 쓰면 이렇습니다.)

    “ㄷ습니다” → “되었습니다”가 말이 되므로 “돼”로 고쳐야 하는 말.


    “다 돼어 갑니다” → “다 되어어 갑니다” ×
    “안 돼어” → “안 되어므로”

     

    6. 안/않

    부정을 나타낼 때 앞에 붙이는 “안”은 “아니”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안 먹다”, “안 졸다”가 맞는 말입니다.

    역시 부정을 나타내는 “않”은 “아니하-”의 줄임말입니다.


    이 말은 앞말이 “무엇무엇하지”가 오고,
    그 다음에 붙어서 부정을 나타냅니다.

     

    “안 보다” → “아니 보다”“안 가다” →
    “아니 가다”“보지 않다” → “보지 아니하다”
    “가지 않다” → “가지 아니하다”


    “않 보다” → “아니하- 보다” ×
    “않 먹다” → “아니하- 먹다” ד
    뛰지 안다” → “뛰지 아니” ×
    “먹지 안다” → “먹지 아니” ×

    이것을 외우려면, 부정하고 싶은 말 앞에서는 “안”, 뒤에서는 “않”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

     


    추가

    한국어 문법상 돼/되 의 구분은 해/하 의 구분원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해/하 는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도 헷갈려하지 않지만
    돼/되 는 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거 아시죠?


    무슨 소리냐구요? 해보면 압니다.

    돼 -> 해
    되 -> 하
    로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 겁니다.

     

    예제를 풀어봅시다.

    안돼 / 안되 ----------------->
    안해 / 안하 당연히 안해가 맞죠? 따라서 답은 안돼

     

    안돼나요 / 안되나요 ------->
    안해나요 / 안하나요 말할필요도 없죠? 따라서 답은 안되나요

     

    될 수밖에 / 됄 수밖에 ----->
    할 수밖에 / 핼 수밖에 할 수밖에가 맞죠? 답은 될 수밖에

     

    됬습니다 / 됐습니다 ------->
    핬습니다 / 했습니다 했습니다가 맞죠? 역시 답은 됐습니다

     


    [자료출처/한글학회]

    =========================================

    <보너스 자료>

    주꾸미(쭈꾸미), 구레나룻(구렛나루), 흐믓하다(흐뭇하다), 예스럽다(옛스럽다), 인사말(인삿말), 오뚝이(오뚜기), 절체절명(절대절명), 야반도주(야밤도주), 혈혈단신(홀홀단신)..........

     

    괄호 안의 낱말이 틀린 말인데도 맞는 것처럼 많이 쓰이고 있는 말입니다....

    그리고 나중에 "산수갑산"을 가더라도 에서 "산수갑산 "이란 말도 틀리죠.

     삼수갑산이 맞는데 실제로 함경도에 있답니다.

     

    꽃은 "봉오리", 산은 "봉우리"로 해야 합니다~~

     

    또 "꽃이 지천에 피었다"라고 표현하는 것도 삼가야("삼가해야"는 틀린말)하는데

     "지천"의 漢字가 "地天"이 아니라 "至賤"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럴때는 "꽃이 지천으로 피었다"라고 써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