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한양)탐구03-궁궐2-궁궐의 구조 외 운현궁, 칠궁, 종묘, 사직단, 동묘

 

(배경음악) 종묘제례악 5분 하이라이트공연-예술의 전당 2017

              추후 링크가 끊어지면 음악이나 동영상이 안 나올 수도 있으며,

              아래 음악이나 동영상이 안보이면 https://youtu.be/D-1-4eLjzhE <=요걸 클릭

 

* 본문 중 밑줄 친 링크는 본문 내용을 가져오거나 참고한 곳으로 필요시 밑줄 친 link를 클릭. , 밑줄 친 링크는 현재는 연결되지만 추후 링크 주소 변경되면 연결이 안 될 수도 있음.

 

<참조한 주요 자료 및 링크>

1.  궁궐 및 종묘(문화재청-heritage.go.kr)우리 궁궐 이야기

2.  서울 5대궁과 종묘에서 만나는 궁궐이야기 [ 5회 궁중문화축전 ]-10분 가량의 동영상(youtube)동영상임.

 

*조선 궁궐 잠깐 퀴즈! - 이것만 알아도 조선시대 궁 관련 내용은 좀 안다고 할 수 있다.

                               정답은 본문 내용 및 이 글 끝에...

 

[ 퀴즈-B ]

퀴즈1. 궁궐 내에서 대신(大臣)들이 업무를 보던 관청들이 모여 있는 곳을 무어라 하나?

         (오늘날 정부 종합청사에 해당하는 곳을 말함)

퀴즈2. 왕이 조의(朝議-아침 조회)를 할 때 왕이 계신 정전(政殿) 내부[=당상(堂上)]에서

        국사(國事에 대해 임금과 논의를 하거나 왕이 하시는 말씀(下交)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관리를(또는 그런 직책) 무어라 하는가? ( OO官 )

퀴즈3. 왕이 정사를 보는 정전(政殿) 앞마당에 각 품계에 따라 관리들이 도열하는 위치에

         (주로) 돌로 만들어 세워둔 것을 무어라 부르는가?

퀴즈4. 흥선대원군의 사저(私邸)로 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이다. 고종이

         태어난 곳이며 고종이 명성황후와 가례를 치른 곳이기도 하다. 이곳의 명칭은?

퀴즈5. 종묘사직(宗廟社稷)이란 말의 뜻은? 이와 관련된 서울에 있는 장소 명칭은?

퀴즈6.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의 이름은?

 

[ 궁궐 관련 몇 가지 용어, 단어 설명 ]

<참조 링크> 1. 국가문화유산포탈 | 궁궐의 건축 (heritage.go.kr)

                  2.국가문화유산포탈 | 궁궐의 짜임새 (heritage.go.kr)

 

정전(正殿): 왕이 조회(朝會)를 하던 궁전. 경복궁의 근정전, 창덕궁의 인정전 등이 있다.

편전(便殿): 임금이 평상시에 거처하는 궁전.

 

중궁(中宮): 1. 왕의 정실부인(왕비) 2. 궁궐의 중앙에 있는 궁궐로 왕비가 거처하는 곳.

중궁전(中宮殿): 왕비가 거처하던 궁전.

 

세자궁(世子宮) : 왕세자가 거처하던 궁전.

빈궁(嬪宮) : 1.왕세자의 아내. 2. 임금의 후궁 가운데 지위가 가장 높은 사람.

                 3. 조선 시대에, ()이나 세자빈이 거처하던 곳.

 

(알림)

본 게시물은 위에 소개한 참고 자료(밑줄 링크)의 내용과 아래 참조 자료에서 항목과 내용을 가져왔으며 내용 일부는 편집, 가감된 것도 있다. 상세한 내용은 관련 링크나 참조 링크를 보기 바람.

 

궁궐의 짜임새(구조) 내용참조 링크: 국가문화유산포탈 | 궁궐의 짜임새 (heritage.go.kr)

중국 고대부터 전해오는 궁궐 구성의 원칙적인 구성이 "오문삼조(五門)"였다. 궁궐은 궁성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내부가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있다. 각 구역에는 들어가는 문이 있는데, 남에서 북으로 가면서 다섯 개의 문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 다섯 문 안에 외조, 치조, 연조라는 세 조정이 있어 "오문삼조"라는 궁의 공간구조가 형성된다.

 

조선은 삼문삼조(三門三朝)의 원칙이었는데 삼문이라 함은 고문(皐門), 치문(治門), 노문(路門)이고 삼조라 함은 외조(外朝), 치조(治朝), 연조(燕朝)이다. 참조 링크: 경복궁과 자금성의 비교 - 나무위키 (namu.wiki)

 

1. 외전(外殿)

외전은 왕이 공식적으로 신하들을 만나는 공간이다. 외전 중 핵심이 되는 공간이 바로 정전이다. 정전은 궁궐에서 외형상 가장 화려하고 권위가 있는 공간으로 조정의 조회와 사신의 응대, 각종 잔치를 벌이는 국가의 공식적인 의식을 거행하는 공간이다.

 

정전(正殿)-궁궐의 큰 행사가 열렸던 곳으로 가장 화려하고 권위가 있어 왕의 위엄을 드러내는 곳이다. 새로운 임금의 즉위식이라던가, 외국의 중요한 사신이 와서 임금님께 인사를 하던 곳이다. 정전에서는 한 달에 네 번 정도 임금과 신하들이 모여 조회를 했다. 건물 이름에 O政殿으로 된 것이 많다. : 경복궁의 勤政殿(근정전), 창덕궁의 仁政殿(인정전), 창경궁의 明政殿(명정전)

창덕궁 '인정전'과 그 아래 품석(품계석)

정전(正殿) 건물 주변은 회랑(回廊)이 둘러싸여 있어 비를 맞지 않고 다닐 수 있었다. 이 회랑 안 네모난 공간(일종의 뜰 마당)을 조정(朝廷)이라 하고, 여기엔 품석(품계석)이 있어 각 관리들의 위치를 알려 주었다.

 

품계 내용의 출처: 다음백과

관계·위계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3국이 각각 관의 등급을 나누고 고유의 관등명을 썼다.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신라의 관등을 그대로 적용했다. 고려 초기에는 신라와 태봉의 관계를 계승했으나 중앙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여 문산계와 무산계를 정1품에서 종9품까지, 18품계로 정했다. 이 품계는 명칭만 변경되어 조선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당상관(堂上官)

조선시대 조의(朝議)를 행할 때 당상(堂上)에 있는 교의(交椅)에 앉을 수 있는 관계(官階) 또는 그 관원으로, 동반은 정3품의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 서반은 절충장군(折衝將軍) 이상, 종친은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 의빈(儀賓)은 봉순대부(奉順大夫) 이상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다.

 

이러한 당상관은 의관(醫官)·역관(譯官) 등 기술관, 또는 환관(宦官) 등에게도 간혹 제수하였으나 이는 특례이고 대부분 양반이 독점하였다.

 

고려시대는 국정의결에 2품 이상의 재추(宰樞)만이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는 그 폭을 정3품 당상관까지 확대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당상관은 국정을 입안, 집행하는 최고급 관료 집단이라 할 수 있다.

 

편전(便殿)-왕이 일하던 곳으로 왕이 공부도 하고 신하들과 회의도 나누던 곳이 편전이다. 편전에서 있었던 회의는 그 내용이 모두 글로 기록되어 있다.

 

2. 내전(內殿)

궁의 중앙에 위치한 내전은 왕과 왕비의 공식 활동과 일상적인 생활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위치만 궁의 중앙에 있는 것만이 아니라, 궁의 핵심을 이루는 기능도 하였다. 내전은 크게 보아 대전과 중궁전으로 구성된다. 대전은 왕이 기거하는 공간이며, 중궁전은 왕비가 기거하고 활동하는 공간이다.

 

침전-임금님이 잠을 자던 공간

중궁전-가장 안쪽에 위치한 공간으로 왕비가 머물던 곳으로, 중전 또는 중궁이라고 부른다.

          예: 경복궁의 교태전, 창덕궁의 대조전

대비전-왕의 어머님이나 웃어른들이 사는 공간. : 경복궁의 자경전

 

3. 동궁(東宮)

동궁은 왕위의 계승자인 세자의 활동공간이다. 다음 왕위를 이을 세자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인물이기 때문에 내전의 동편에 그 처소를 마련했는데 그 이유는 세자를 떠오르는 해와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경복궁의 자선당

 

4. 후원(後苑)

궁궐의 북쪽 산자락에 위치한 후원은 왕을 비롯한 궁궐 사람들의 휴식공간이다. 후원은 산골짜기, 연못, 아담한 정자 등이 주로 배치되어 있는데 후원에서는 과거 시험을 치르고 군사훈련을 했으며, 종친 모임과 같은 대규모 모임을 열기도 하였다: 경복궁의 향원정, 창덕궁 후원(=祕苑)

 

5. 궐내각사(闕內各司)

궐내각사는 궁궐 안에서 활동하는 여러 관리들이 업무를 보던 공간으로, 관서들을 이르는 말이다. 궐내각사에는 정치,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 경비와 호위 등 군사 관계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 왕실 시중과 궁궐의 시설 관리를 맡는 관리기구 등이 있다. 주요 기구로는 정승, 판서 등 고위 관리들의 회의 공간인 빈청, 이조와 병조의 관원들이 들어와 인사 업무를 처리하는 정청, 사헌부와 사간원의 언관들이 언론 활동을 논의하고 준비하는 대청, 왕명 출납을 담당하는 승지들의 관서인 승정원, 학문을 도야하여 왕의 주문에 대응하고 왕과 함께 경전과 역사책을 토론하는 홍문관, 외교문서를 짓는 예문관, 실록 편찬 등 역사기록을 담당하는 춘추관 등이 있다.

 

궐내각사- 현재 창덕궁의 궐내각사는 인정전의 서쪽에 궐내각사만 복원되어 있는 형편이나, 원래는 선정전의 앞뜰에도 승정원, 사간원, 선전관청, 사옹원, 대전장방 등 빽빽한 건물군으로 궐내각사가 유지되었다. 비록 복원된 것이라고는 하나 창덕궁의 궐내각사는 한국 5대궁 중에서 특히나 궁이 과거 중앙국가행정의 중심이자 치소(治所)라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곳으로써 가치가 높고, 왕족과 귀족의 거처에 불과한 서양의 궁/궁전들과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곳이다. 내용출처창덕궁/건축물 - 나무위키 (namu.wiki) 

 

참고 궐외각사(闕外各司) 대궐 밖 광화문 앞 세종로에 있던 육조나, 궁 밖에 있는 내수사, 비변사 등은 궐외각사라 하였다.

 

그 외 공간으로는 정규관리의 활동 공간, 군사기구, 왕실시중과 궁궐관리기구 등이 있다. 외전과 내전 동궁 주변에 왕, 왕비, 세자등 주요 인물들의 시중을 드는 내시, 궁녀, 노복, 군병들의 기거 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6. 삼도(三道), 폐도(陛道), 踏道(답도).

궁궐의 모든 길은 삼도(三道)로 이루어져 있는데, 삼도의 길 중에 가운데가 약간 높이 솟아있는데, 이곳을 폐도(陛道)라 하고 임금만이 다닐 수 있는 길이다. 폐도를 다니는 사람을 일러 폐하(陛下)라 한다. 폐도(陛道)는 중국의 황제에게만 부칠 수 있다 하여 조선의 임금은 폐도 대신 어도(御道)라고 부르기도 했다. 폐도를 중심으로 동쪽의 길은 문신(文臣), 서쪽의 길은 무신(武臣)이 다니는 길이다.

정전(正殿) 입구의 계단 장식인 踏道(답도)-사진은 창덕궁의 답도

정전(正殿) 입구의 계단 장식인 踏道(답도)를 보면 근정전 계단의 답도는 간략하게 형식만 갖춘 반면 자금성의 답도들은 서양의 대리석 조각에 준하는 정도로 음각과 양각이 깊고 크기도 훨씬 거대함을 알 수 있다. 정전의 정문 앞을 흐르는 금천의 크기도 다르고 궁궐의 벽을 지키는 망루인 십자각의 크기도 자금성 쪽이 더 거대하고 더 사치스럽다. 단순히 궁궐 면적만 비슷한 수준으로 확보했다고 해서 두 궁궐의 크기가 비슷하다고 하는 건 적절치 못하다. 참조 링크: 경복궁과 자금성의 비교 - 나무위키 (namu.wiki)

 

7. 동쪽은 봄, 태양을 서쪽은 가을, 달을 상징.

(경복궁에서) 근정전 앞 관리들 출입하는 동쪽 문은 日華門(일화문)으로 태양을 뜻하는 일()자가 들어가며 文臣(문신)이 드나들었고, 서쪽은 月華門(월화문)으로 달을 뜻하는 월()자가 들어가며 武臣(무신)이 출입하였다.

 

경복궁의 건물과 대문들 중 동쪽은 봄춘()자가 들어있고 서쪽에 있는 부속건물과 대문에는 가을추()자가 들어있다. 사정전 동쪽에 만춘전(萬春殿), 서쪽에 천추전(千秋殿)이 있고 경복궁의 동쪽 문은 건춘문(建春門)이며 서쪽 문을 영추문(迎秋門)이다.

 

8. 궁궐은 아니지만 궁이라는 이름으로 쓰인 건물

왕이 되기 전 머물었던 곳을 잠저(潛邸) 또는 別宮(별궁)이라 하고(:효종의 잠저인 용흥궁), 왕이 궁궐을 떠나 잠시 경유하는 궁을 行宮(행궁)이라한다. :왕이 온천욕을 위해 온양에 잠시 머물렀던 온양행궁 등이 이에 속한다.

 

혹은 "왕의 아버지" 정도의 격이 되는 사람들의 집을 가리켜 ""이라고 붙이기도 한다(:흥선 대원군의 집 운현궁)

 

  운현궁(雲峴宮)    참조 링크 1. 운현궁雲峴宮 -다음백과

                         참조 링크 2. 대원군 정치의 중심 운현궁

대원군의 사가(私家)였던 운현궁(雲峴宮)

운현궁(雲峴宮)은 한성부 중부 정선방에 있던 흥선대원군의 집이자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명복(고종)이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던 곳이다. 이곳은 원래 지명인 구름재에서 이름을 따와 운현궁이라 불리게 되었다. 운현궁은 고종이 명성황후와 가례를 치른 곳이고, 흥선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이기도 하다. 한양 내의 궁 중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고, 소규모의 궁궐과 같이 사대문을 갖춘 곳으로 궁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참조 링크 운현궁에서 내용 가져옴)

 

이하 내용은 참조 링크: 대원군 정치의 중심 운현궁에서 가져 왔다.

운현궁 뒤편에는 석재를 혼용해 벽돌로 지은 르네상스식 건축물이 이국적인 풍모를 드러내고 있다. 대원군의 손자 영선군 이준용이 거처했던 양관(洋館)이다. 이 건물은 1907년 유럽여행을 마치고 온 이준용을 회유하기 위해 일제가 세운 것으로, 운현궁 후원에 있었던 흥선대원군의 할아버지 은신군과 부친인 남연군의 사당을 철거한 자리에 지었다. 1917년 이준용이 죽은 뒤 순종의 아우인 의친왕의 둘째 아들 이우가 이어받았고 한국전쟁 이후 집이 상당 부분 팔리면서 운현궁 양관도 덕성여자대학교 소유가 됐다. 이곳은 드라마 도깨비에 등장한 바 있다.

 

이하 내용은 참조 링크: 운현궁雲峴宮 다음백과 에서 가져 왔다.

고종의 등극으로 대원군이 된 이하응은 사가(私家)를 증축하여 운현궁이라고 불렀다. 이곳에서 대원군은 서원철폐, 경복궁 중건 등 개혁사업을 추진했으며, 1882년 임오군란 당시에는 이 궁에서 납치되어 중국 심양으로 끌려가기도 했다.

 

당시 운현궁에는 창덕궁과 가깝게 왕래할 수 있는 임금 전용의 경근문과 대원군 전용의 공근문이 있었고, 담장 안에는 아재당, 안채인 이노당·노락당이 있었으며, 선조인 은신군과 남연군의 사당과 영화루도 있었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사로 쓰이는 양옥집은 1910년 이후 대원군의 손자 준용의 거처였으며, 일본인이 지은 건물이다

운현궁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건물이며 정원 등이 잘 보존되어 있는데, 내정에는 아직도 고종이 소년시절에 오르던 노송이 있어, 2품 금관자를 달아주고 대부송이라 일컫는다.

 

칠궁(七宮)    참조 링크: 칠궁

이곳은 원래 1725(영조 1) 영조가 생모이자 숙종의 후궁인 숙빈 최씨(淑嬪崔氏)의 신위를 모시고 숙빈묘(淑嬪廟)라 하다가 뒤에 육상묘(毓祥廟)로 바꾸었으며, 1753년 육상궁(毓祥宮)으로 개칭된 곳이다. 그 뒤 1882(고종 19) 불타 없어진 것을 이듬해 다시 세웠다.

칠궁 중 하나인 연호궁

1908년 저경궁(儲慶宮대빈궁(大嬪宮연호궁(延祜宮선희궁(宣禧宮경우궁(景祐宮) 5개의 묘당을 이곳으로 옮겨 육궁이라 하다가 1929년 덕안궁(德安宮)도 옮겨와서 칠궁이라 하였다.

 

칠궁은 동서로 줄지어 있고 이에 따른 행랑, 2채의 재실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동쪽으로부터 배열된 칠궁의 순서와 모셔진 신위의 내용을 보면, 육상궁: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 연호궁: 추존된 왕 진종(眞宗)의 생모 정빈 이씨(靖嬪李氏), 덕안궁: 영친왕의 생모 순헌귀비 엄씨(純獻貴妃嚴氏), 경우궁: 순조의 생모 수빈 박씨(綏嬪朴氏), 선희궁: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暎嬪李氏), 대빈궁: 경종의 생모 희빈 장씨(禧嬪張氏), 저경궁: 추존된 왕 원종(元宗)의 생모 인빈 김씨(仁嬪金氏) 등이다.

 

종묘(宗廟)사직(社稷)

종묘사직(宗廟社稷)이라하면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종묘(宗廟)는 유교적 예법에 따라 역대왕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왕실의 사당이며 사직(社稷)은 토지의 신인 사()와 곡식의 신인 직()에게 제사를 올리는 곳이다.

 

宗廟(종묘)    내용 및 참조 링크: 국가문화유산포탈 | 종묘 소개 (heritage.go.kr)

종묘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정전과 영녕전, 제례 준비에 필요한 몇몇 부속 전각으로 이루어졌다. 전각은 최소한의 색만 사용하고 화려한 단청을 하지 않았으며 장식과 기교를 최대한 절제하였다. 현재 정전에는 19실에 49, 영녕전에는 16실에 34위의 신위가 모셔져 있고, 정전 뜰 앞에 있는 공신당에는 조선시대 공신 83위가 모셔져 있다.

 

종묘제례 및 제례악    내용 및 참조 링크: 국가문화유산포탈 | 종묘 소개 (heritage.go.kr)

종묘제례 및 제례악은 2001'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 2008년부터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관리되고 있다. 세계유산인 종묘에서 개최되는 행사로 유형과 무형의 세계유산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문 문화유산이다. 종묘제례는 왕조의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로 조선왕조의 제사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에 종묘대제(宗廟大祭)라고 한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와 조선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유구한 역사를 이어 내려온 소중한 조상전래의 제례의식이다. 조선조에는 춘하추동 사계절과 섣달에 행하였으며 1969년 대동종약원에 의해 복원되어 지금은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에 봉행되고 있다.

 

종묘대제에는 종묘제례가 봉행되며 각 제사의례에 맞추어 경건한 분위기를 고양시키기 위한 음악과 무용으로서 종묘제례악이 따른다. 제례는 신을 맞이하는 영신례(迎神禮), 초헌, 아헌, 종헌례에 이어 음복례가 행해지고, 신을 보내 드리는 송신례(送神禮)를 갖춘 후에 축()과 폐()를 망료(望燎) 위에 불사르는 것으로 끝난다.

 

종묘제례악은 우리 고유의 음률로 왕조의 창업과 기상을 노래하고 있으며 모든 행사의 순서에 맞추어 춤과 음악이 조화를 이룬다. 엄숙한 제사 의례만큼이나 장엄미가 돋보이는 종합예술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크며 동양에서도 드물게 남아 있는 고전음악이다.

참조링크 : 종묘제례악

 

사직단    내용 출처(민족문화대백과) 및 참조 링크: 사직단

사직단의 위치는 주례(周禮)에 잘 규정되어 있는데, ‘오른쪽에 사직, 왼쪽에 종묘라 하였다. 이 규정은 법궁을 중심으로 사직은 오른쪽에, 종묘는 왼쪽에 둔다는 뜻이며, 중국이나 우리나라 모두 준수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종묘는 수도 한 곳에만 설치하는 데 반해 사직은 수도뿐만 아니라 지방 행정단위인 주현(州縣)마다 설치하였다. 주현의 사직도 관아의 서쪽, 곧 오른쪽에 세웠다.

 

사직단은 사단(社壇)과 직단(稷檀)을 따로 설치하였으며 사단은 동쪽에, 직단은 서쪽에 위치하였다. 각 단에는 다섯 가지 색깔의 흙을 덮었는데 동은 청색, 서는 백색, 남은 적색, 북은 흑색, 중앙은 황색 흙으로 하였다. 또한 각 단에는 신위를 모셨는데 사단에는 국사신(國社神)을 북향하여 모시고 후토신(后土神)을 동향하여 배향하였으며, 직단에는 국직신(國稷神)을 북향하여 모시고 후직신(后稷神)을 동향하여 배향하였다. 각 단에는 사방으로 계단을 설치하였으며, 단 둘레에는 유()라고 하는 울타리를 치고 그 유에도 사방으로 문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형식은 후대에도 크게 변화가 없었다.

 

보통 도성의 서쪽에 사직단을 설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성부 의인달방(儀仁達坊)에 있는데 지금의 사직공원 자리이다.

 

동묘(東廟)=동관왕묘(東關王廟)    내용 및 참조 위키백과 링크: 동관왕묘

중국 촉나라의 장수 관우(關羽)를 모신 관왕묘로,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다. 1963121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조선 땅에서 싸운 명나라 장수들은 관우의 신령을 보는 체험을 하고 곳곳에 관왕묘를 세웠다. 이 보고를 받은 명나라는 전쟁이 끝난 뒤 조선에 관왕묘를 지으라는 요청을 하였고, 이에 동대문 밖에 1599년 공사를 시작하여 1601(선조 34) 동관왕묘를 완공하였다. 명나라 신종이 친필 현판과 함께 건축자금을 지원하였다.

.동관왕묘 – 사진출처: https://blog.naver.com/hermione555/222465522635

동관왕묘의 중심건물은 두 개의 건물이 앞뒤로 붙어 있는데, 이것은 중국의 절이나 사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다. 지붕은 높은 '()' 자 모양과 '()'자 모양이 합쳐진 '()'자 모양이다. 실내 공간도 앞뒤로 나뉘어 있는데, 앞은 제례를 위한 전실이고 뒤는 관우와 부하장군들의 조각상을 둔 본실이다.

 

관왕묘는 서울의 동서남북에 모두 지어졌는데 그 중 동관왕묘가 제일 규모가 크고 화려하다. 넓은 벽돌 벽과 독특한 지붕모양, 조각상, 실내의 구성과 장식 등에서 중국풍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는 17세기 제사시설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남관왕묘는 조정에서 관리하며 왕실에서도 제사를 지냈으나 1908(융희 2) 제사를 폐지하고 동관왕묘는 지방 관청으로 이괄했다. 남대문 밖에는 동묘보다 먼저 생긴 남관왕묘가 있었으며, 고종 때에는 북관왕묘와 서관왕묘를 지었다. 남관왕묘는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북관왕묘와 서관왕묘는 조선총독부가 철거했다.

 

[ 퀴즈-B ]

퀴즈1. 궁궐 내에서 대신(大臣)들이 업무를 보던 관청들이 모여 있는 곳을 무어라 하나?

         (오늘날 정부 종합청사에 해당하는 곳을 말함)

퀴즈2. 왕이 조의(朝議-아침 조회)를 할 때 왕이 계신 정전(政殿) 내부[=당상(堂上)]에서

        국사(國事에 대해 임금과 논의를 하거나 왕이 하시는 말씀(下交)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관리를(또는 그런 직책) 무어라 하는가? ( OO官 )

퀴즈3. 왕이 정사를 보는 정전(政殿) 앞마당에 각 품계에 따라 관리들이 도열하는 위치에

         (주로) 돌로 만들어 세워둔 것을 무어라 부르는가?

퀴즈4. 흥선대원군의 사저(私邸)로 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이다. 고종이

         태어난 곳이며 고종이 명성황후와 가례를 치른 곳이기도 하다. 이곳의 명칭은?

퀴즈5. 종묘사직(宗廟社稷)이란 말의 뜻은? 이와 관련된 서울에 있는 장소 명칭은?

퀴즈6.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의 이름은?

 

[ 퀴즈-B 정답 ]

퀴즈1 . 궁궐 내에서 대신(大臣)들이 업무를 보던 관청들이 모여 있는 곳을 무어라 하나?

             (오늘날 정부 종합청사에 해당하는 곳을 말함) .=> 궐내각사

퀴즈2 . 왕이 조의(朝議-아침 조회)를 할 때 왕이 계신 정전(政殿) 내부[=당상(堂上)]에서

             국사(國事에 대해 임금과 논의를 하거나 왕이 하시는 말씀(下交)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관리를(또는 그런 직책) 무어라 하는가? .=> 堂上官(당상관)

퀴즈3답.  왕이 정사를 보는 정전(政殿) 앞마당에 각 품계에 따라 관리들이 도열하는 위치에

            (주로) 돌로 만들어 세워둔 것을 무어라 부르는가? .=> 품석(品石), 品階石(품계석)

퀴즈4 . 흥선대원군의 사저(私邸)로 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

             답.=> 운현궁(雲峴宮)

퀴즈5 . 종묘사직(宗廟社稷)이란 말의 뜻은? 이와 관련된 서울에 있는 장소 명칭은?

             답.=>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종묘(宗廟)는 역대왕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왕실의

                      사당이며 사직(社稷)은 토지의 신인 사()와 곡식의 신인 직()에게 제사를 올리는 곳이다.

                      해당 장소의 명칭은 宗廟(종묘) 사직단(社稷檀)이다.

퀴즈6 .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의 이름은? 동묘(東廟)=동관왕묘(東關王廟)

 

(계속)

 

+ Recent posts